기타 팁

무선 통신 사용

easyDSP는 MCU의 RS232 통신 포트를 사용하므로, RS232의 RX, TX 신호를 무선으로 변환할 경우 (예를 들어 RS232/블루투스 변환기 사용), 무선 통신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무선 환경은 사용자가 구현해야 하며, easyDSP는 공식 지원하지 않습니다. 무선 환경으로 인한 신호 전달 지연하에서도 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프로젝트 설정에서 Wait-more time을 수백 msec 정도로 늘려 사용해주세요. 이 경우 대부분의 MCU 및 무선 환경에서 변수 모니터링 기능은 잘 수행되리라 생각합니다.
하지만 무선 플래시 프로그래밍은 또다른 이야기입니다. 우선 Reset, Boot 신호도 무선으로 전달해야 하며, 부트로더 및 기타 복합적인 요소로 인해 결국 수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 관련 사항은 easydsp@gmail.com 으로 문의 바랍니다.

easyDSP로 플래시만 구울 경우

easyDSP의 각종 통신 기능은 사용하지 않고, 단순히 주어진 출력 파일(예: *.out 파일)을 MCU 플래시에 프로그래밍할 용도로만 easyDSP를 사용한다면, 해당 출력 파일을 사용하여 easyDSP 프로젝트를 생성한 후 플래시롬 대화상자로 이동하여 플래시를 프로그래밍하면 됩니다.
각종 모니터링 기능을 사용할 때 필요한 통신용 소스파일 추가 등등의 작업은 필요가 없습니다. 

커맨드실행 없이 한 줄 삽입

커맨드 창에서의 엔터키 입력은 해당라인의 커맨드를 실행하게 합니다. 커맨드 실행 없이 단순히 한 줄을 삽입하고 싶을 시에는 컨트롤 키와 엔터키를 동시에 누르세요. 이것은 또한 버튼을 클릭하는 것과 동일합니다.

커맨드창에서 변수 변경 후 바로 값 확인

변수 값을 바꾼 후 실제 변수 값을 확인하고 싶으면, 해당 라인에 커서를 위치시킨 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십시오. 마우스 오른쪽 버튼은 'update' 버튼과 동일한 기능이므로, 커맨드 윈도우의 내용을 블럭으로 선택한 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.

플래시 프로그램 및 환경변수 저장

플래시의 마지막 섹터는 프로그램의 환경변수 저장용으로, 나머지 섹터는 MCU 프로그램 자체로 사용하는 것이 편리합니다. 이 경우 Sector Erase기능을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섹터를 지운 후, 프로그램 코드만을 필요한 섹터에 프로그래밍할 수 있습니다.